BlockChain43 [BlockChain] Remix를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Remix란? Remix는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웹 기반의 IDE입니다. VSCode로도 코드를 작성할 수 있지만 디버깅이나 컴파일을 하는 기능이 없습니다.(extention 설치 가능) 그래서 컴파일, 배포, 테스트, 디버깅 등을 지원하는 Truffle, Ganache를 함께 사용합니다. Remix의 장점 웹 기반 IDE라서 설치가 필요 없고, 다양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서 별도의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 설치도 불필요합니다. Remix의 단점 소스 코드가 영구적으로 저장되지 않아 잃어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git과 연동하거나 local과 연결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 사이트 접속 Remix 접속 링크 링크를 클릭해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VSCode랑.. 2022. 5. 19. [BlockChain] 니모닉 알아보기 니모닉 니모닉은 결정적 지갑에서 난수를 12개의 영단어로 인코딩한 영단어 그룹으로, BIP39에서 제안되었습니다. 기존의 시드 키는 난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억하기 어려움이 있었지만, 니모닉은 영단어로 구성되어 보기 쉽고 기억하기 용이합니다. 니모닉 생성 과정 128bit 또는 256bit 길이의 난수를 생성해 시드 키로 사용합니다. 난수를 SHA-256 알고리즘으로 해싱합니다. 해시값에서 (시드 키의 길이 / 32 )bit 만큼 앞에서부터 떼어냅니다. 떼어낸 데이터는 체크섬으로 만듭니다. 체크섬을 난수의 뒤에 붙칩니다. 난수를 11bit 단위로 자릅니다. 각 11bit의 데이터를 단어로 치환합니다. ※ 체크섬 : 중복 검사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떤 일련의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 2022. 5. 15. [BlockChain] HD 지갑 알아보기 HD 지갑 HD 지갑(Hierarchical Deterministic Wallet)은 하나의 시드 키를 사용하여 여러 주소를 생성할 수 있는 암호화폐 지갑으로 계층적 결정 지갑이라고도 합니다. HD 지갑은 트리 형태로, 하나의 부모 키가 여러 개의 연속된 자식 키를 만들고, 이 자식 키는 다시 여러 개의 손자 키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주소를 생성합니다. 비결정적 지갑과 결정적 지갑 비결정적 지갑 비결정적 지갑은 매 트랜잭션마다 새로운 비밀 키를 생성하는 지갑으로 지갑의 데이터를 자주 백업해야 합니다. 결정적 지갑 결정적 지갑은 하나의 시드 키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시드 키는 비밀 키를 만들기 위한 난수로 사용됩니다. 이 시드 키를 가지고 있으면 시드 키로부터 만들어진 비밀 키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즉 .. 2022. 5. 14. [BlockChain] 디지털 서명 알아보기 디지털 서명 디지털 서명은 메시지나 디지털 문서의 진위성과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수학적 메커니즘입니다.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면 메시지나 문서, 파일 등의 내용이 변조되었는지 또는 데이터 송신자가 진짜 송신자가 맞는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공개 키 암호 디지털 서명은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합니다. 공개 키 암호의 두 키는 타원 곡선 알고리즘(ECDSA)에 의해 생성되며, 한 키로 암호화를 진행하면 다른 키로 복호화가 가능합니다. 디지털 서명 디지털 서명의 절차는 크게 3단계로 해싱, 서명, 검증이 있습니다. 해싱 해싱은 원본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합니다. 해싱 과정은 꼭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고정된 길이의 값을 비교하기 때문에 검증과정이 간편해져서 많이 사용합니다. 서명 공개 .. 2022. 5. 13.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