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5 [BlockChain] FLP Impossibility FLP Impossibility FLP Impossibility(Fischer, Lynch, Paterson Impossibility) 또는 FLP Theorem이라고도 불리며 Liveness, Safety, Fault Tolerance 이 3가지 속성이 모두 달성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즉 합의 알고리즘을 선택한다는 것은 속성 중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Safety Safety는 시스템에 나쁜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모든 정상적인 참여자는 같은 상태에 동의하여야 하고, 그 상태는 유효해야 합니다. 쉽게 말해, 문제 없는 노드는 잘못된 합의를 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Liveness Liveness는 시스템은 항상 살아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결국에는 어떤 상태에 동의하여야 하.. 2022. 5. 10. [BlockChain] 트릴레마 해결을 위한 노력 트릴레마란? 트릴레마는 블록체인의 세 가지 기본 기능인 보안, 탈중앙화, 확장성이 서로 영향을 주어 3가지 중 어느 것을 선택하면 다른 부분이 악화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트릴레마 해결을 위한 노력 레이어1 합의 프로토콜 개선 현재 비트코인 등 인기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한는 합의 알고리즘인 PoW는 안전한 반면 속도가 느립니다. 이에 탈중앙화를 지키면서 확장성을 보완할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많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PoS방식을 선호하게 됩니다. PoS는 네트워크 지분을 기반으로 검증인 상태를 결정합니다. 이는 탈중앙화를 높이고 보안을 보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샤딩 샤딩은 분산 데이터베이스에서 채택되었으며 블록체인 부문 내에서 다소 실험적인 특성이 있음에도 인기있는 Layer.. 2022. 5. 10. [BlockChain]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포크란? 블록체인에서 포크란 메인넷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블록체인 메인넷의 업데이트입니다. 포크를 어떻게 진행하냐에 따라 하드포크와 소프트 포크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드 포크 하드포크는 블록체인의 기본 기능 자체를 수정하는 포크입니다.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기존 문제를 해결하고 이전 블록체인과 전혀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는 블록체인이 됩니다. 이러한 하드포크 이후에 채굴 노드들은 반드시 새로운 버즌으로 업그레이드 해야 합니다. 소프트 포크 소프트 포크는 기존 블록체인의 기능을 일부 수정하는 포크입니다. 소프트 포크는 기존 블록체인의 기본 구조는 변경되지 않고 부분적인 기능개선만 이루어집니다. 2022. 5. 9. [BlockChain] 위임 지분 증명(DPoS) 알아보기 위임 지분 증명이란? 위임 지분 증명(DPoS, Delegated Proof of Stake)은 암호화폐 소유자들이 각자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을 대신할 대표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위임 지분 증명의 장단점 장점 처리 속도 선출된 대표자들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빠릅니다. 소규모 참여자의 이익 위임한 대표자와 수익을 분배하고 대표자를 뽑는 것 외에는 크게 신경 쓸 일이 없어 소규모 참여자에게도 이익이 됩니다. 단점 네트워크 보안 블록체인은 탈중앙화 되어 강력한 보안성을 지닙니다. 하지만 DPoS의 경우 지분을 위임받은 소수의 대표자들만 있다 보니 탈중앙화가 되지 않아 보안이 취약해집니다. 대표자의 수 네트워.. 2022. 5. 9. 이전 1 ··· 5 6 7 8 9 10 11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