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거버넌스 알아보기
블록체인의 거버넌스란?
블록체인 거버넌스는 다양한 커뮤니티를 통해 구성원들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으로, 공동체를 이루는 구성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여 중요한 사항을 집단으로 결정하는 체계를 말합니다.
거버넌스란의 분류
온체인 거버넌스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요소 이외에 다른 요소 없이 체인 내부에서 거버넌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말합니다. 블록체인 상에서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제안을 내고, 그에 따라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투표하는 구조입니다. 쉽게 말해 개발자들은 코드 업데이트를 통한 변경을 제안하고 각 노드는 제안된 변경을 수용할지 아니면 거부할지를 투표로 결정합니다.
오프체인 거버넌스
온체인 거버넌스와 반대의 의미로 사용합니다. 거버넌스가 네트워크 외에서도 이루어져 그것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부까지 영향을 준다면 오프체인 거버넌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EIP, BIP를 들 수 있습니다.
거버넌스란 효과 및 문제
효과
소외되었던 시민 사회의 민주적 책임을 강화시키고, 복잡한 문제 발생 상황에서 유용하고 현실적인 대안이 됩니다.
문제
성숙된 민주의식을 기본으로 둔 시민 사회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만약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책임을 누가 지는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제안
BIP
BIP(Bitcoin Improvement Proposal)는 비트코인의 개선 제안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에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문제를 제기해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지를 받고 95%의 찬성표를 받으면 제안이 채택되어 플랫폼에 적용됩니다.
EIP
EIP(Ethereum Improvement Proposal)는 이더리움의 개선 제안을 의미합니다.
EIP는 이더리움 커뮤니티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설명하는 설계문서입니다. 문서를 작성할 때는 특징에 대한 간략한 기술 명세서와 근거를 제공해야하고, 반대 의견을 문서화할 책임이 있습니다.
ERC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는 이더리움의 RFC로서, 이더리움의 표준이 될 만한 내용들을 말합니다.
EIP의 경우, 토론을 통해 이루어진다면 ERC는 기술적으로 설명하며 제시해야합니다.
※ RFC : 국제 인터넷 표준화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제공, 관리하는 문서로, 인터넷 기술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연구, 혁신, 기법 등을 적어 놓은 문서입니다.